시공사, 21세기 첫 여성 노벨문학상 시인 ‘루이즈 글릭’ 대표 시집 출간

노벨문학상 작가 루이즈 글릭 대표 시집 출간
‘야생 붓꽃’, ‘아베르노’, ‘신실하고 고결한 밤’
한림원 “꾸밈없는 아름다움을 갖춘 시적 목소리로 개인의 실존을 보편적으로 나타낸 작가”

2022-11-15 10:00 출처: 시공사

야생 붓꽃 띠지 표

서울--(뉴스와이어)--시공사가 여성 시인으로 21세기 첫 노벨문학상의 주인공이 된 루이즈 글릭의 대표 시집 ‘야생 붓꽃’, ‘아베르노’, ‘신실하고 고결한 밤’을 출간했다.

◇ 작품 소개

“그래요, 기쁨에 모험을 걸어보자고요. 새로운 세상의 맵찬 바람 속에서.”

21세기 노벨문학상의 첫 여성 시인 루이즈 글릭

2020년 노벨문학상은 미국의 여성 시인 루이즈 글릭에게 돌아갔다. 2000년 이후 여성 시인으로서는 처음이다. 1909년에 ‘닐스의 모험’으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최초 여성 작가 셀마 라겔뢰프 이후 16번째이며 1996년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이후 두 번째 여성 시인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21세기 전 세계 문학계에서 가장 큰 화두는 ‘여성’임을 알 수 있다.

여성들의 목소리가 수면 위로 올라온다. 그 모습은 저항일 때도 있고 연대일 때도 있으며, 루이즈 글릭처럼 여성으로서 겪은 비극을 끝까지 관찰한 후 쓰인 회고의 형식일 때도 있다.

한림원 위원인 작가 안데르스 올손은 “야생 붓꽃(1993)에서 신실하고 고결한 밤(2014)에 이르기까지 글릭의 시집 열두 권은 명료함을 위한 노력이라고 특징지어진다”고 했다. 덧붙여 글릭의 작품 세계를 19세기 미국 시인 에밀리 디킨슨과 비교하며 “단순한 신앙 교리(tenets of faith)를 받아들이지 않으려 하는 엄정함과 저항”이라고도 표현했다.

△퓰리처상 △전미도서상 △미국 계관 시인 △국가인문학메달 △전미비평가상 △볼링겐상 △로스앤젤레스타임스도서상 △월리스스티븐스상 그리고 노벨문학상까지. 루이즈 글릭은 50년 동안 미국 시 문단 중심에 선 인물이다. 한국에서는 “그래요, 기쁨에 모험을 걸어보자고요 / 새로운 세상의 맵찬 바람 속에서”라는 구절이 있는 시 ‘눈풀꽃’만 알려져 있지만, 미국에서는 현대 문단을 대표하는 서정시인 가운데 한 사람으로 꼽힌다. 그녀의 작품은 우아함, 냉철함, 인간에게 공통적인 감정에 대한 민감성, 서정성 그리고 그녀의 작품 전반에 걸쳐 드러난 거의 환상에 가까운 통찰력으로 꾸준한 찬사를 받고 있다. 지금은 예일대학교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두려움을 모르는 시인이 전하는, 살아갈 용기

가족이라는 주제, 엄격하면서도 익살스러운 지성, 세련된 구성이 결합돼 만들어진 글릭의 작품 세계는 2020년 노벨문학상을 통해 한국에도 전해지게 됐다. 노벨문학상 발표 이후 국내에 글릭의 시가 번역돼 알려졌지만, 글릭을 위로의 시인으로만 인식한다면 이는 단편적 이해에 그친다.

글릭의 시에는 고통스러운 가족관계를 잔인할 정도로 정면으로 다루는 대범함이 있다. 서정시 특유의 언어적 장식은 찾아볼 수 없다. 언어를 고르고 자신의 이야기이자 보편적인 이야기를 끌어내는 데에 솔직하고 비타협적인 용기가 돋보인다. 작품 곳곳에 언어로써 살아 움직이기 때문이다.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명료하고 단순한 언어로 삶과 세계의 깊은 진실을 전달하는 루이즈 글릭. 자연을 면밀히 관찰하다가 자신의 아픈 경험을 반추하는 그녀의 시적 화법은 개인사라는 한정된 틀을 벗어나 보편적 울림으로 독자들에게 다가간다. 그녀의 작품 세계를 뚜렷하게 보여주는 대표 시집 세 권을 통해 독자는 자신의 상처를 끌어안을 용기, 불행을 수용하고 인생을 긍정하며 살아갈 용기를 전달받게 된다.

시인과 옮긴이의 치열한 소통

번역 문학의 한계를 뛰어넘는 한국어 정본

영어의 미세한 결과 한국어의 정서를 맞추는 작업은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영미 시를 가르치는 정은귀 교수가 맡았다. 앤 섹스턴과 어맨다 고먼의 시를 우리말로 옮긴 정은귀 교수는 대학 강당과 논문을 비롯해 대중 강연에서도 글릭의 시를 강독하고 알리는 열정적인 연구자다. 루이즈 글릭 연구 재단을 설립해 다양한 논문을 통해 학술적으로 그녀의 시 세계를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정은귀 교수의 열정에 감동한 루이즈 글릭은 자신의 시가 전혀 다른 언어로 옮겨지는 생생한 과정을 꼼꼼히 바라봤다. 시인과 옮긴이가 치열하게, 오랫동안 소통한 끝에 한국 독자들도 글릭의 시 세계를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게 되는 유일한 한국어 정본이 완성됐다.

여기에 시인 나희덕, 김소연, 문학 평론가 신형철 교수가 한국 출간을 축하하며 각각의 책에 작품 해설을 수록했다. 세 문인의 글은 글릭의 시 세계를 온전히 이해하고자 하는 열정적인 독자들에게 좋은 길잡이가 되어준다.

서정시의 살아 있는 전설, 루이즈 글릭의

시 세계를 탐닉하기 위해 펴내는 전집

1962년부터 서정시인으로 작품 활동을 해온 루이즈 글릭. 그녀의 시 세계는 초기, 중기, 후기로 나뉜다. 시공사는 한 작가의 삶이 고스란히 담긴 시집 열네 권, 에세이와 시론을 담은 두 권의 책에서 발견되는 시인의 세계관 변화를 관찰하는 것 역시 독자가 마땅히 누릴 아름다움이라고 여겼다. 콘텐츠로서 가치만을 좇아 단편적으로 글릭의 시집 한두 권만 출간하기보다는 루이즈 글릭의 문학 세계를 온전히 보여줘야 한다는 사명감을 느끼고 작품 전체를 출간하는 ‘루이즈 글릭 전집’을 선보인다. 한국의 출판문화를 풍성하고 다양하게 만들어 독자들에게 다양한 영감을 주고자 하는 출판사의 신념이 담긴 작업이기도 하다.

그 첫 시작으로 ‘야생 붓꽃’, ‘아베르노’, ‘신실하고 고결한 밤’이 출간된다. 여성의 삶, 인간 존재로서의 삶을 치열하게 관찰해 자신의 이야기로 끌어낸 글릭의 작품들을 읽다 보면, 독자는 어디까지나 시인이 살아 있음의 곁, 그리고 삶을 위한 투쟁의 곁에 서 있는 뜨거운 작가임을 느낄 수 있다.

◇ 작품 소개

△야생 붓꽃(The Wild Iris, 퓰리처상 수상)

정원에서 영감을 얻은 시집

1992년 출판된 시인의 여섯 번째 시집 ‘야생 붓꽃’은 시인에게 퓰리처상과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시 협회상을 안겨준 대표작이다. 미국시사에서 식물에 이렇게나 다양하고 생생한 그들만의 목소리를 부여한 시인은 그 이전에도 그 이후에도 없다. 정원 가꾸기가 취미였던 에밀리 디킨슨(Emily Dickinson, 1830~86)이 자연에 대한 시, 특히 꽃을 매우 섬세하게 관찰하고 묘사하는 시를 많이 썼지만, 글릭처럼 이토록 온전히 꽃의 목소리를 직접 구사하지는 않았다. 동시대 시인 메리 올리버(Mary Oliver, 1935~2019)도 자연을 가까이하며 다른 존재들에 대한 시를 많이 썼지만, 인간의 시선으로 대상을 면밀히 보는 시들이 많았다. 글릭에게 이르러 꽃은 비로소 꽃 자체가 된다.

야생 붓꽃은 글릭의 시적 실험을 선명하게 보여주는 시집이다. 시집은 꽃과 정원사-시인의 기도와 신이 함께 거주하는 정원의 세계다. 아침저녁으로 나가서 꽃을 살피고 꽃과 대화하고 날씨를 보고 햇살과 바람을 느끼는 곳이지만 그 정원은 이상하게도 꿀벌이 없는 정원이다. 글릭이 좋아하는 시인 디킨슨의 정원은 꿀벌로 가득한데, 글릭의 정원은 꿀벌이 없다. 그래서 실제의 정원이라기보다 상상 속의 정원으로 읽히기도 한다.

루이즈 글릭이 미국 시 문단에서

살아 있는 전설로 50년 동안 주목받는 이유

야생 붓꽃에는 여러 층위의 화자가 등장한다. 그녀가 서정시를 쓰는 예술가로서 얼마나 선구적인 작품 세계를 갖추었는지 확실하게 증명한다. 이 작품은 몽환적이면서도 인간 존재에 관한 예리한 관찰이 담겨 있다. 자연을 면밀히 관찰하다가 자신의 아픈 경험을 반추하는 그녀의 시적 화법은 ‘개인사’라는 한정된 틀을 벗어나 보편적 울림으로 독자들에게 다가간다. 정원을 배경으로 세 부분으로 구성된 이 책은 세 가지 목소리를 능숙하게 사용한다. 첫 번째는 정원사(시인)에게 말하는 꽃이다. 두 번째는 화자(시인)의 목소리다. 세 번째는 전지전능한 신으로서의 목소리다. 사연, 신화, 민담, 개성을 담은 꽃을 등장시켜 인간의 감성과 특징을 함축한다. 야생 붓꽃은 이런 의인화가 시에서 얼마나 큰 힘과 울림을 지니는지를 보여준다. 다소 어려운 단어 배열로 독자들을 미궁에 빠트리는 듯하지만, 읽는 사람의 영혼을 절묘하게 작품 깊은 곳으로 끌어당긴다.

삶과 희망을 깨닫게 하는 메시지

야생 붓꽃은 삶과 희망, 존재의 영원한 순환에 대한 감각을 깨운다. 정원에 꽃이 피어나기까지의 1년, 일시적이면서도 순환적이고, 그래서 영원한 생을 이야기하는 그녀의 대표작이다. 작가와 독자가 서로를 연대하게 만드는 이 시집은 살아갈 용기, 깊은 희망, 존재로서의 정당함을 일깨운다. 생명의 영원한 본질인 ‘존재함을 누군가가 알아차려주는’ 행위가 이 시집에서 이뤄진다.

△아베르노(Averno, PEN 뉴잉글랜드 어워즈)

고대 로마인들의 지하 세계 입구에서

영감을 받은 시집

루이즈 글릭에게 노벨 문학상을 부여한 한림원에서 그녀의 작품 중 가장 아름다운 작품집으로도 꼽히는 ‘아베르노’. 이 시집은 하데스에 붙잡힌 페르세포네의 신화를 몽환적이면서도 마치 존재했던 이야기를 다루듯이 능수능란하게 현대적으로 해석했다. 아베르노는 라틴어로 지옥을 뜻한다. 고대 로마인들이 지하 세계의 입구로 여겼던 이탈리아 남부에 있는 작은 분화구 호수의 이름이다. 이 장소가 루이스 글릭의 열 번째 시집 이름이 됐다.

그리스 신화를 차용한 방식에선 이전 시집들, 예를 들어 ‘목초지’(Medowlands, 1996)와 ‘새로운 생’(Vita Nova, 1999), ‘일곱 시절들’(The Seven Ages, 2001)에 연결되는 이 시집은 인간 본성에 깃든 욕망과 상실, 트라우마의 문제를 현재적 목소리로 바꿔 전달한다. 절제된 형식미를 내세워 이 지상의 목숨과 신의 존재, 몸을 지니고 태어나는 생명들의 존재 조건에 대한 영성적인 질문을 하는 점에서는 야생 붓꽃과도 연결된다.

죽음과 생을 연결하고 화해시키는,

루이즈 글릭의 독특한 시 세계

아베르노는 ‘떠남’에 관한 이야기다. 떠났다가 돌아오는 이야기다. 한 번이 아니라 여러 번, 상실과 죽음을 딛고 다시 돌아오고 돌아오는 이야기다. 시인은 페르세포네 신화의 틀을 차용하지만 시집에서 떠나는 자는 그 옛날의 페르세포네라기보다는 현대의 무수한 어린 소녀들, 그 페르세포네‘들’이다. 그 되돌아오는 반복, 여러 겹의 생을 사는 작업을 통해 시인은 지금 시절을 살다 가는 우리가 직면하는 죽음의 문제를 탐색한다. 죽음의 위험을 알면서 그를 무릅쓰고 먼 길, 새로운 길을 떠나야 했던 젊음의 욕망을 응시한다.

총 18편의 시가 수록된 이 시집은 두 개의 파트로 나뉜다. 신화를 기반으로 한 이 시집은 돌이킬 수 없는 겨울로 변한 풍경에서 죽음의 세계와 생의 세계를 연결하는 동시에, 두 세계를 화해시키는 통로가 된다.

지친 사람들의 영혼을 어루만지는

시인의 언어

아베르노는 미국에서는 ‘현대의 고전’으로 꼽히는 걸작 시집이기도 하다. 시인의 자전적 이야기와 고전 신화 사이에서 시적인 페르소나에 초점을 맞춘 이 시집은 삶이 고통과 맞닿아 있는 이들에게, 재가 되어버릴 것 같은 생의 고통에 갇힌 현대인의 영혼을 어루만진다. 육체 안에 존재했던 삶의 기쁨을 떠올리게 하고, 결국 지금 우리의 영혼이 어떻게 위안을 찾을 것인지 자문하고 그 해답을 찾게 만든다.

신실하고 고결한 밤(Faithful and Virtuous Night, 전미도서상)

루이즈 글릭이 가장 애정을 둔 시집

뉴욕타임스는 그녀와 그녀의 시집을 두고 “이 나라 문학의 주요 사건”이라고 극찬한 바 있다. 신실하고 고결한 밤은 루이즈 글릭이 “가장 애정을 가진 시집”이라고 밝힌 작품집이다. 가장 최근의 시 세계를 알 수 있는 시집이기도 하다. 상실과 절망, 죽음을 통과한 언어, 생의 파고를 넘으며 저류(低流)로 간신히 살아낸 삶을 응시하는 언어는 단순하고 신실한 글릭시학의 묘미를 잘 보여준다.

글릭에게 시의 언어는 어떤 화려한 미학적 방법론에 기대고 있지 않다. 그에게 시는 지금 보이지 않는 것들, 사라진 것들, 입이 없어 말을 하지 못하는 작은 기억의 파편들을 어떻게든 다시 불러 모아 기워내는 생존 작업이다. 시인은 시간의 파편에 기대어 이 시집을 완성했다.

삶의 여정을 지나온 중년의 예술가가

보여주는 서정시의 세계

한 예술가가 만년에 이르러 돌아보는 기억 이야기로 정리할 수 있는 시집에서 시인은 ‘나’와 ‘우리’ 그리고 남성성과 여성성이 혼재된 목소리들을 내세운다. 이전의 시집들에서 자전적인 서정시와 신화의 세계를 오가며 시의 폭을 넓힌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더 노련한 복화술을 구사한다. 현실과 환상, 과거와 현재, 남성과 여성이 뒤섞인 복잡한 시의 목소리 안에서 서사적이고 극적인 방식으로 한 예술가의 삶이 엮인다. 시집 전체에서 ‘시작’과 ‘끝’을 둘러싼 순환의 감각이 두드러진다. 시작에서 끝으로 나아가는 여정은 우리가 태어나 살고 죽는 일직선의 시간이지만, 동시에 기억 속에서 되풀이 재현되는 반복과 겹의 시간이다. 충실한 삶을 살아낸 예술가는 죽음을 생각하고 있지만, 그의 기억 안에서 시작과 끝은 단일하지도 일관되지도 않다. 사고로 죽음을 맞는 부모님 이야기가 기억 속에서 반복되듯, 우리네 삶은 언제나 갑작스럽게 끝을 맞이하고 시인 또한 시작과 끝이 단일하게 여며지지 않는 문장을 이어간다.

자신을 긍정하는 힘을 전달하려는 시인의 정신

생의 유한함, 시작과 끝에 대한 이야기면서 동시에 어떤 독자적인 시작도 어떤 단일한 끝도 없음을 반복해 이야기하는 시집은 시작도 끝도 아닌 삶의 여정 위에 우리가 어떤 호흡을 가져야 하는지를 재차 묻는다. 루이즈 글릭이 이 시집을 통해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싶은 것은 우리가 우리를 이해하는 방식이다. 다소 우발적인 인생, 결함이 있는 존재임에도 나 자신의 존재를 인지하고 긍정해야만 삶이 살아진다는 메시지가 시집 전체에 담겨 있다.

이 시집은 편안한 어조로 쓰였지만 독자를 미지의 세계와 만나게 한다. 죽음의 왕국을 통과하기도 하며, 기사가 됐다가 한 영혼이 되었다가 바람이 되게 만든다. 명확한 어조로 꿈을 거닐게 만드는 루이스 글릭만의 마법 같은 경이로운 문장은 그동안 예술성 높은 시작품을 갈구해온 독자들에게 놀라움과 즐거움이 된다.

◇ 차례

야생 붓꽃

야생 붓꽃 THE WILD IRIS | 아침 기도 MATINS | 아침 기도 MATINS | 연령초 TRILLIUM | 광대수염꽃 LAMIUM | 눈풀꽃 SNOWDROPS | 맑은 아침 CLEAR MORNING | 봄 눈 SPRING SNOW | 겨울의 끝 END OF WINTER | 아침 기도 MATINS | 아침 기도 MATINS | 실라꽃 SCILLA | 물러가는 바람 RETREATING WIND | 정원 THE GARDEN | 산사나무 THE HAWTHORN TREE | 달빛 속의 사랑 LOVE IN MOONLIGHT | 사월 APRIL | 제비꽃 VIOLETS | 개기장풀 WITCHGRASS | 꽃고비 THE JACOB’S LADDER | 아침 기도 MATINS | 아침 기도 MATINS | 노래 SONG | 들꽃 FIELD FLOWERS | 꽃양귀비 THE RED POPPY | 클로버 CLOVER | 아침 기도 MATINS | 하늘과 땅 HEAVEN AND EARTH | 입구 THE DOORWAY | 한여름 MIDSUMMER | 저녁 기도 VESPERS | 저녁 기도 VESPERS | 저녁 기도 VESPERS | 데이지꽃 DAISIES | 여름의 끝 END OF SUMMER | 저녁 기도 VESPERS | 저녁 기도 VESPERS | 저녁 기도 VESPERS | 이른 어둠 EARLY DARKNESS | 수확 HARVEST | 하얀 장미 THE WHITE ROSE | 나팔꽃 IPOMOEA | 프레스크 아일 PRESQUE ISLE | 물러가는 빛 RETREATING LIGHT | 저녁 기도 VESPERS | 저녁 기도: 재림 VESPERS: PAROUSIA | 저녁 기도 VESPERS | 저녁 기도 VESPERS | 저녁노을 SUNSET | 자장가 LULLABY | 은빛 백합 THE SILVER LILY | 구월의 황혼 SEPTEMBER TWILIGHT | 금빛 백합 THE GOLD LILY | 흰 백합 THE WHITE LILIES | 작품 해설 세 개의 모놀로그 혹은 한 개의 트라이얼로그_신형철 | 옮긴이의 말 꿀벌이 없는 시인의 정원에서

아베르노

야간 이주 THE NIGHT MIGRATIONS | 시월 OCTOBER | 페르세포네 그 방랑자 PERSEPHONE THE WANDERER | 프리즘 PRISM | 크레이터 레이크 CRATER LAKE | 에코들 ECHOES | 푸가 FUGUE | 저녁 별 THE EVENING STAR | 풍경 LANDSCAPE | 순수의 신화 A MYTH OF INNOCENCE | 오래된 파편 ARCHAIC FRAGMENT | 파란 원형 건물 BLUE ROTUNDA | 헌신의 신화 A MYTH OF DEVOTION | 아베르노 AVERNO | 조짐 OMENS | 망원경 TELESCOPE | 개똥지빠귀 THRUSH | 페르세포네 그 방랑자 PERSEPHONE THE WANDERER | 작품 해설 여러 생애를 겹쳐 살기_ 김소연 | 옮긴이의 말 되살아 견디는 목소리의 힘

신실하고 고결한 밤

우화 PARABLE | 모험 AN ADVENTURE | 지난 날 THE PAST | 신실하고 고결한 밤 FAITHFUL AND VIRTUOUS NIGHT | 기억 이론 THEORY OF MEMORY | 예리하게 말이 된 침묵 A SHARPLY WORDED SILENCE | 밖에서 오는 사람들 VISITORS FROM ABROAD | 시원의 풍경 ABORIGINAL LANDSCAPE | 유토피아 UTOPIA | 콘월 CORNWALL | 후기 AFTERWORD | 한밤 MIDNIGHT | 돌 속의 그 칼 THE SWORD IN THE STONE | 금지된 음악 FORBIDDEN MUSIC | 열린 창문 THE OPEN WINDOW | 우울한 조수 THE MELANCHOLY ASSISTANT | 단축된 여행 A FORESHORTENED JOURNEY | 다가오는 지평선 APPROACH OF THE HORIZON | 그 새하얀 연속 THE WHITE SERIES | 말과 기수 THE HORSE AND RIDER | 소설 작품 하나 A WORK OF FICTION | 어느 하루 이야기 THE STORY OF A DAY | 여름 정원 A SUMMER GARDEN | 공원의 그 커플 THE COUPLE IN THE PARK | 작품 해설 무한한 끝들을 향한 영혼의 여행 _ 나희덕 | 옮긴이의 말 낮은 목소리로

◇ 작가, 옮긴이 소개

지은이 루이즈 글릭(Louise Glück)

미국의 시인이자 수필가이다. 1943년 태어났다. 1968년 시집 ‘맏이’로 등단했고, 1993년 시집 ‘야생 붓꽃’으로 퓰리처상과 전미도서상을 받았다. 2003년부터 다음 해까지 미국 계관 시인이었다. 그동안 시집 열네 권을 발표했고 에세이와 시론을 담은 책 두 권을 지었다. 2020년 노벨문학상, 2015년 국가인문학메달, 1993년 야생 붓꽃으로 퓰리처상, 2014년 ‘신실하고 고결한 밤’으로 전미도서상, 1985년 ‘아킬레우스의 승리’로 전미비평가상 등을 받았다. 2001년 볼링겐상, 2012년 로스앤젤레스타임스도서상, 그리고 2008년 미국 시인 아카데미의 월리스 스티븐스상을 받기도 했다. 예일대학교와 스탠퍼드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옮긴이 정은귀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문학문화학과 교수이자, 우리 시를 영어로 알리는 일과 영미 시를 우리말로 옮겨 알리는 일에 정성을 쏟고 있다. 말이 사람을 살리기도 하며 시가 그 말의 뿌리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믿음의 실천을 궁구하는 공부 길을 걷고 있다. 지은 책으로 ‘딸기 따러 가자’와 ‘바람이 부는 시간: 시와 함께’가 있다. 앤 섹스턴의 ‘밤엔 더 용감하지’,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의 ‘패터슨’을 한국어로 번역했다. 심보선의 ‘슬픔이 없는 십오 초(Fifteen Seconds Without Sorrow)’, 이성복의 ‘아 입이 없는 것들(Ah, Mouthless Things)’, 강은교의 ‘바리연가집(Bari’s Love Song)’, 한국 현대 시인 44명을 모은 ‘The Colors of Dawn: Twentieth-Century Korean Poetry’를 영어로 번역했다.

◇ 추천사

야생 붓꽃

한 사람이 세 개의 목소리를 창조해내고 그것들 사이에 이토록 팽팽한 힘의 균형을 이뤄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제 내면을 탐사하고 이를 건축적으로 설계해낸 장엄한 시도다. 예술적 자기 분열의 시도이자 내적 사제(師弟) 관계의 발명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는 무엇보다도 시인 자신을 설득하고 치유하기 위한 것이었겠지만 그 수혜자는 독자 모두가 된다. 여기서 글릭의 수상 이유로 거론된 “unmistakable poetic voice”를 다시 생각해볼 일이다. 국내 보도들은 ‘unmistakable’을 ‘확고한’, ‘뚜렷한’, ‘분명한’ 등으로 대수롭지 않게 옮겼다. 이것을 ‘실수를-범할 수 있게 하지-않는’이라 옮기는 것까지는 무리더라도 단어 자체는 그런 뜻임을 음미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는 자신이 아닌 다른 존재의 목소리로 말하더라도 독자를 그 존재들에 대한 오해와 착오로 이끌지 않는다. 그리고 그것이 한 사람의 놀라운 자기 탐구와 거듭남의 결과임을 실감할 수 있게 만든다. 시를 두고 ‘위대한’이라는 말을 쓸 수 있는 드문 순간이 바로 이런 때다. _신형철 문학평론가

아베르노

아베르노에서 루이즈 글릭의 목적은 살아서 죽음을 증언하는 것이 아니었을까. 죽은 것처럼 사는 삶이 아니라, 죽음을 노려보며 살아가는 삶이 아니라, 죽음에 매혹된 삶 또한 아니라, 죽음이 여러 번 다녀갈 수밖에 없는 삶. 여러 번 죽음으로써, 살아 있다는 베일을 비로소 벗기고 살고 있다는 꿈에서 마침내 깨어나게 된다는 것. 루이즈 글릭의 시는 베일 없는 세계를 산다. 꿈에서 깨어난 꿈으로부터 다시금 깨어나면서. 자연만이 그렇게 해온 것을 그녀는 시로서 그렇게 한다. 그녀의 시는 거의 자연이다. 여러 생애를 겹쳐 산다. _김소연 시인

신실하고 고결한 밤

이 시집은 죽은 자들과 만나고 대화하는 일종의 ‘무대’와도 같다. 다양한 화자가 등장하고 대부분의 시들이 대화체로 되어 있는 것도 그래서이다. 대화의 상대는 대체로 먼저 세상을 떠난 가족들, “어머니와 아버지, 갓난쟁이 언니”다. 루이즈 글릭이 고등학교 때부터 거식증과 우울증을 앓았고 7년 동안 정신분석을 받았다는 사실은 두루 알려져 있다. 갓난쟁이 언니가 죽고 자신이 태어났다는 죄책감, 어머니와의 불화와 트라우마, 아버지의 죽음과 전소된 집에 대한 상실감 등이 시편 곳곳에 나타난다. 이런 시인에게 고통스러운 기억을 대면하고 망자들과 만나는 일은 뒤늦은 화해와 애도의 과정이자 자기 치유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_나희덕 시인

◇ ‘야생 붓꽃’, ‘아베르노’, ‘신실하고 고결한 밤’ 개요

지은이, 옮긴이: 루이즈 글릭 지음, 정은귀 옮김

형태: 137*210(무선)

면수: 야생 붓꽃 96쪽, 아베르노 124쪽, 신실하고 고결한 밤 108쪽

가격: 각 1만3000원

분야: 국내 도서 > 시/에세이 > 해외시 > 영미시

발행일: 2022년 11월 7일

시공사 개요

시공사는 창의, 열정, 조화라는 핵심 가치를 실현해 고객과 함께 미래를 열어가는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책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책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배포 안내 >
뉴스와이어 제공